티스토리 뷰

목차



     

     

    백일해란

     

    백일해균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 질환입니다. 

    이름의 어원은 100일 동안 기침을 한다는 뜻입니다. 

     

     

    백일해 증상

     

    백일해의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7-10일(최소 4일~최장 21일)입니다. 증상은 다양하지만 크게 3가지 단계로 진행되고 발열은 심하지 않습니다. 

     

     

    카타르기(1-2주)

     

    일반적 감기와 비슷, 전염력이 가장 높습니다. 

    콧물, 재채기, 미열, 경미한 기침 등의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

     

     

     

    경해기(4주 이상)

     

    기침이 점진적으로 심해져 2주가 지나면 빠르고 잦은 발작적 기침이 하루 평균 15회 이상 발생합니다. 

    심한 기침발작 후 좁아진 성대를 통해 강하게 숨을 들이쉴 때 특징적인 높은 톤의 '훕(Whoop) 소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소아와 아기는 기침을 하는 동안 얼굴이 파래질 수 있고, 구토를 하거나 탈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기침 발작 사이엔 아파 보이진 않습니다. 

     

     

    회복기(2-3주)

     

    발작성 기침이 서서히 줄면서 2-3주 내 사라집니다. 

     

     

     

    예방접종의 중요성

     

    백일해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급성 유행성 감염병입니다. 우리 아이가 연령에 맞는 백일해 예방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다면, 의사와 상의하여 백일해 예방접종을 받도록 합니다. 

     

     

     

     

     

     

     

     

     

    우리 아이가 백일해가 의심될 경우

     

     

    백일해 진단검사

     

    자녀가 백일해가 의심된다면 병원 내원하여 진료 및 검사를 받습니다. 

    백일해 진단검사는 비인두도찰물 또는 흡인액을 채취하여 백일해균에 감염되었음을 확인(균을 분리하거나 유전자를 검출), 하는 것으로 유전자형 검사로 전파경로를 파악할 수 있어 추가전파를 신속히 차단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백일해 진단받은 경우 학교, 어린이집 등 전파 차단을 위해 전염기간 동안 등교, 등원을 중지하고 집에서 격리합니다. 

     

     

     * 등교, 등원 중지

     

    (적정 학생제 복용 시) 투여 후 5일까지 격리

    (치료받지 않은 경우) 기침 멈출 때까지 최소 3주 이상 격리

     

     

    백일해 예방법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   기침예절 실천

     

    ·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기침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하고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반응형